김진만 (191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만(1918년)은 일제강점기 강원도 삼척군 출신으로, 일본에서 유학 후 북삼화학 회장, 강원일보사 사장, 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그는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이후 7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당,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3선 개헌 시기에는 민주공화당 내 신주류 그룹을 이끌었으나, 10·26 사태 이후 유신 체제 성립으로 세력이 와해되었다. 이후 신군부에 의해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재산을 헌납하고, 강원일보사 사장, 동곡문화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척시 출신 - 엄현성
엄현성은 대한민국 해군의 예비역 대장으로,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해군참모총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국방 개혁에도 기여했으며, 퇴역 후에는 석좌교수와 여러 협회 활동을 통해 후학 양성과 해군 발전에 기여하고 대통령표창과 보국훈장을 수훈했다. - 삼척시 출신 - 박상철 (가수)
박상철은 1969년 강원도 삼척 출생으로, 1993년 《전국노래자랑》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2000년 1집 앨범으로 데뷔하여 〈자옥아〉, 〈무조건〉 등의 히트곡으로 트로트 가수로 활동하며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 강릉 김씨 - 김승호
김승호는 1946년 《자유만세》로 데뷔하여 25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대종상 남우주연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영화 제작,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한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릉 김씨 - 이상 (작가)
일제강점기 한국의 아방가르드 작가이자 건축기사였던 이상은 '오감도'와 '날개' 등 실험적인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독보적인 자취를 남겼으며, 초현실주의 기법과 수학·건축적 요소를 결합하여 현대인의 소외와 내면세계를 탐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유신정우회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유신정우회 - 백두진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으로, 조선은행 이사장,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김진만 (1918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진만 (金振晩) |
출생 | 1918년 |
사망 | 1998년 7월 19일 (향년 80세) |
본관 | 강릉 김씨(江陵金氏) |
배우자 | 이정숙 |
자녀 | 김종훈 김상훈 김용훈 김은주 |
학력 | |
최종 학력 | 일본대학 법학부 졸업 |
경력 | |
직업 | 제헌 국회의원 제2대 국회의원 제4대 국회의원 제5대 국회의원 제8대 국회의원 제9대 국회의원 제10대 국회의원 제11대 국회의원 제12대 국회의원 |
정당 | 한국민주당 자유당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 |
기타 | 제헌국회 재정경제위원장 국회부의장 민주공화당 원내총무 민주정의당 총재고문 |
훈장 | |
훈장 | 무궁화장 |
2. 약력
정계 활동 | |
---|---|
기타 |
2. 1. 학력 및 기업 활동
학력 | |
---|---|
기업 활동 |
2. 2. 정치 활동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7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당 삼척군 당 부위원장,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원내총무, 재정위원장, 국회 상공위원장, 국회 부의장, 아시아·태평양 의원연맹(APU) 제9차 총회 의장, 한영 의원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2] 특히 1969년 3선 개헌부터 1971년 10·26 사태까지는 김성곤, 백남억, 길재호와 “4인 체제”를 구축하여 김종필을 중심으로 한 민주공화당 내 구주류 그룹과 대항하는 신주류 그룹을 이끌고 당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했으나, 10·26 사태 이후 유신 체제 성립으로 박정희의 지배권이 이어지면서 와해되었다.[1][2]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국가안전기획부에 연행되었다. 46일간의 감금 후 서울특별시 강남의 토지 1000여 평 및 재산을 강제 헌납했다.[3]3. 생애
김진만은 일제강점기 강원도 삼척군(현 동해시) 출신이다.[4] 1936년 일본 浪華상업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도시샤고등상업학교에서 수학했다. 이후 금융 조합 및 회사에 근무했으며, 해방 후에는 삼척개발 북삼화학공업소 자치위원장·상무이사·이사장을 역임했다.[1][2]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초선되어 7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당 삼척군 당 부위원장,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원내총무, 재정위원장, 국회 상공위원장, 국회 부의장, 아시아 의원연맹(APU) 제9차 총회 의장, 한영 의원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2]
민주공화당 내에서 김성곤, 백남억, 길재호와 함께 "4인 체제"를 구축하여 김종필 중심의 구주류 그룹에 대항하는 신주류 그룹을 이끌었다. 그러나 1971년 10·26 사태 이후 유신 체제가 성립되면서 박정희의 지배권이 강화되어 이들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1][2]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국가안전기획부에 연행, 46일간 감금된 후 재산을 강제 헌납당했다.[3]
정계 은퇴 후에는 매스컴, 교육, 문화 분야에서 활동했다. 1957년 강원일보사 사장, 1969년 금강장학회 설립, 1975년 동곡문화재단 설립 및 이사장을 역임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대한헌정회 회장, 2001년 6월부터는 민족중흥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06년 지병으로 89세에 사망했다.[1][2][4]
3. 1. 기업인 활동과 정계 입문
일제강점기 강원도 삼척군(현 동해시) 출신이다.[4] 1936년 일본 浪華상업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도시샤고등상업학교에서 수학했다. 이후 금융 조합 및 회사에 근무했으며, 해방 후에는 삼척개발 북삼화학공업소 자치위원장·상무이사·이사장을 역임했다.[1][2]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초선되어 7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당 삼척군 당 부위원장,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원내총무, 재정위원장, 국회 상공위원장, 국회 부의장, 아시아 의원연맹(APU) 제9차 총회 의장, 한영 의원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2] 특히 1969년 3선 개헌부터 1971년 10·26 사태까지는 김성곤 (1913년)|김성곤한국어, 백남억|백남억한국어, 길재호|길재호한국어와 “4인 체제”를 구축하여 김종필을 중심으로 한 민주공화당 내 구주류 그룹과 대항하는 신주류 그룹을 이끌고 당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했으나, 10·26 사태 이후 유신 체제 성립으로 박정희의 지배권이 이어지면서 와해되었다.[1][2]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국가안전기획부에 연행되었다. 46일간의 감금 후 서울특별시 강남의 토지 1000평 및 재산을 강제 헌납했다.[3]
정계 이외에도 매스컴·교육·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며, 1957년 강원일보사 사장, 1969년 정주영, 김일환 등과 금강장학회를 설립했고, 1975년 동곡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역임했다.
3. 2. 민주공화당 신주류의 리더
1969년 3선 개헌부터 1971년 10·26 사태까지는 김성곤, 백남억, 길재호와 “4인 체제”를 구축하여 김종필을 중심으로 한 민주공화당 내 구주류 그룹과 대항하는 신주류 그룹을 이끌었다.[1][2] 이들은 당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했으나, 10·26 사태 이후 유신 체제 성립으로 박정희의 지배권이 이어지면서 와해되었다.[1][2]3. 3. 유신 체제와 몰락
1969년 3선 개헌부터 1971년 10·26 사태까지는 김성곤, 백남억, 길재호와 “4인 체제”를 구축하여 김종필을 중심으로 한 민주공화당 내 구주류 그룹과 대항하는 신주류 그룹을 이끌고 당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했으나, 10·26 사태 이후 유신 체제 성립으로 박정희의 지배권이 이어지면서 와해되었다.[1][2]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국가안전기획부에 연행되었다. 46일간의 감금 후 서울특별시 강남의 토지 1000여 평 및 재산을 강제 헌납했다.[3]3. 4. 정계 은퇴 이후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국가안전기획부에 연행되었다. 46일간 감금된 후 서울특별시 강남의 토지 1000평 및 재산을 강제 헌납당했다.[3]정계 은퇴 이후에도 매스컴·교육·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며, 1957년 강원일보사 사장, 1969년 정주영, 김일환 등과 금강장학회를 설립했고, 1975년 동곡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역임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대한헌정회 회장, 2001년 6월부터는 민족중흥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2006년 지병으로 89세에 사망했다.[1][2][4]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첫째 아들 | 김준기 | 1944년 12월 4일 | 동부그룹 회장 | |
며느리 | 김정희 | 1948년 3월 14일 | 김상준의 딸 | |
둘째 아들 | 김택기 | 1950년 7월 3일 | 제16대 국회의원 | |
며느리 | 이양희 | 이철승의 딸, 성균관대 아동학과 교수 | ||
셋째 아들 | 김무기 | |||
며느리 | 이지은 | 이종진 서울대 문리대학장의 딸 | ||
넷째 아들 | 김흥기 | |||
며느리 | 오남선 | 오동제의 딸 | ||
다섯째 아들 | 김현기 | |||
첫째 딸 | 김명자 | |||
둘째 딸 | 김희선 | |||
사위 | 신동윤 | 율촌화학 부사장, 신춘호 농심그룹 회장의 아들 | ||
셋째 딸 | 김명희 | |||
기타 | 김평우 | 김동리의 아들, 변호사[6][8] |
5. 평가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54년 | 총선 | 자유당 | 16,721표 | 31.07 | 1위 | 당선 | 초선 |
1958년 | 총선 | 자유당 | 40,997표 | 63.66 | 1위 | 당선 | 재선 |
1960년 | 총선 | 무소속 | 사퇴 | ||||
1963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26,494표 | 35.79 | 1위 | 당선 | 3선 |
1967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48,841표 | 48.77 | 1위 | 당선 | 4선 |
1971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54,356표 | 54.83 | 1위 | 당선 | 5선 |
1973년 | 총선 | 유신정우회 | 당선 | 6선 | |||
1978년 | 총선 | 무소속 | 42,386표 | 19.09 | 2위 | 당선 | 7선 |
참조
[1]
웹사이트
김진만(金振晩)
https://encykorea.ak[...]
2023-05-07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5-07
[3]
뉴스
‘신군부 강탈 재산’ 국가 배상
https://news.kbs.co.[...]
2005-06-29
[4]
웹사이트
궂긴뉴스/김진만 전 국회부의장 별세
https://www.hani.co.[...]
2022-12-13
[5]
웹사이트
김진구 - 디지털삼척문화대전
http://www.grandcult[...]
2023-09-12
[6]
웹사이트
[新 한국의 가벌] #33. 김준기 회장 아들 부인은 차병원 이사장 손녀
http://www.sisajourn[...]
2023-09-12
[7]
웹사이트
사상 초유의 與 대표 중징계…이양희 윤리위원장은 누구?
https://biz.chosun.c[...]
2023-09-12
[8]
웹사이트
동부그룹 창업자 김준기 회장은 정치가 가문
http://www.sisajourn[...]
2023-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